부동산/뇌피셜

2025 부동산 상승 이유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와 정권 교체, 금융규제까지 총정리

J.A.N. 2025. 6. 28. 09:56
반응형

 
2025년 부동산 시장은 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조용하던 분위기와 달리, 올해 3월부터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장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왜 다시 오르지?"라고 묻고 있지만, 그 해답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정권 교체, 그리고 금융규제 발표라는 일련의 흐름 속에 들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부동산 상승장의 원인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고,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전망해 보겠습니다.


1. 2025년 3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가 시작점이었다

서울시는 2025년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일부 해제했습니다. 특히 많은 주목을 받았던 지역은 ‘잠삼대청’으로 불리는 잠실, 삼성, 대치, 청담입니다. 이 지역은 그동안 규제로 인해 거래가 거의 없던 곳이었는데, 해제가 발표되자마자 매물이 풀리며 신고가 거래가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 잠실 리센츠 전용 84㎡: 27.5억 원 신고가 거래
  • 삼성동 래미안퍼스티지: 30억 원 복귀
  • 대치 은마, 청담 삼익 등도 가격 반등

이처럼 강남 중심 지역에서 시작된 상승 분위기는 다른 인기 지역에도 빠르게 번지기 시작했습니다.


2.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용산구까지 확대되다

하지만 상승세는 길지 않았습니다. 서울시는 한 달 만인 4월 중순,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는 잠삼대청 뿐 아니라 용산구 주요 지역까지 포함되며, 시장은 다시 긴장 상태로 전환되었습니다.
이 조치는 단기 급등을 차단하려는 정부의 의도로 해석되지만, 오히려 시장 참여자들은 이를 상승장의 징조로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용산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 이후 개발 기대감이 계속 커져 왔던 지역이라, 규제가 곧 '핫플레이스'라는 인식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3. 정권 교체, 시장은 "민주당 = 부동산 상승"을 떠올렸다

2025년 5월,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시장은 다시 한 번 출렁였습니다. 많은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은 지난 문재인 정부 시절의 부동산 폭등기를 기억하고 있었고, 자연스럽게 "이번에도 비슷하게 오르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형성되었습니다.

  • 마포, 용산, 성수, 여의도 등 서울 핵심지 상승
  • 판교, 과천, 하남 등 수도권 A급지 매수세 유입
  • 대선 직후 일주일 동안 호가 1억~3억 상승한 단지도 등장

이처럼 정치적 이벤트 하나가 시장의 심리를 크게 자극했다는 점에서, 정권 교체가 이번 상승장의 두 번째 핵심 원인이 되었습니다.


4. 6월 27일, 금융규제 강화 발표… 그러나 시장은 움직인다

정부는 6월 27일,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금융규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투기과열지구 내 9억 원 초과 주택 LTV 30%로 제한
  • 다주택자 주담대 제한 강화
  • 전세자금대출 심사 강화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확대

이 발표 이후 일부 매수 대기자들의 움직임은 느려졌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숨 고르기'일 뿐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단순히 규제 하나로 꺾이기보다는, 정책과 수요 심리, 공급 부족, 기대감이라는 복합 요인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5. 앞으로 어떻게 될까? 무주택자의 선택이 시장을 바꾼다

이제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궁금한 건 “앞으로 어떻게 될까?”입니다. 모든 재화는 관심이 많아질수록 가격이 오릅니다. 부동산도 마찬가지입니다.

  • 대통령 취임 한 달 만에 서울 강남과 경기 A급지가 우상향
  • 수도권 외곽에 살던 사람들도 이제 관심 갖기 시작
  • 2021년 상승장을 기억하는 사람들, 이번엔 빠르게 움직일 가능성 높음

특히 지난번 정권 때 무주택으로 버티다 기회를 놓친 사람들이 이번엔 더 빠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큽니다. 규제 영향을 덜 받는 지역이나, 실거주 수요가 높은 수도권 중심지가 먼저 반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6. 결론: 2025 부동산 상승장은 이제 시작일지도 모른다

2025년의 부동산 상승장은 단순히 단기 반등이 아닙니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정권 교체, 금융규제라는 굵직한 변수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하며, 시장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조정기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상승장 초입’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직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지 않았고, 관심을 갖기 시작한 지금이 기회의 시기일 수 있습니다.


#2025부동산 #부동산상승이유 #토지거래허가제해제 #용산부동산 #서울아파트전망 #정권교체부동산 #금융규제부동산 #수도권아파트 #무주택자전략 #부동산투자정보 #서울부동산시장 #부동산전망2025 #LTV규제 #DSR강화 #부동산정책변화

반응형